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을 보면 “이 친구 많이 늙었네”라며 속으로 말하는 경우가 있다. 물론 상대도 나보고 그렇게 생각하겠지마는. 하기야 세월이 흘렀으니 늙는 게 당연하다. “너는 어쩜 그대로니”는 인사성 코멘트이거나, 뭔가 시술로 수작을 한 경우다. 늙는 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, 그래도 이왕 젊게 지내고 밝게 보이며 사는 게 좋지 않겠는가. 오죽했으면 “오늘이 우리 인생에서 가장 젊은 날”이라는 말도 하지 않던가. 대개 이런 말 하는 게 노화 신호이긴 하다. 도쿄 건강장수의료센터는 도시에 사는 고령자 2427명을 대상으로 외출 건수와 사회적 교류 정도를 조사했다. 매일 한 번 이상 집 밖을 나서면 외출족으로,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친구나 지인과 만나거나 전화로 대화를 나누면 교류족으로 분류했다. 그러고는 4년 후 이들의 신체 활력과 자립도를 비교했다. 당연히 외출과 교류, 둘 다 한 사람 점수가 가장 좋았다. 외출과 교류만 비교했을 때는 교류족이 외출족보다 신체 활력이 좋았다. 외로이 등산을 다닌 것보다 만나서 수다 떠는 게 나았다는 얘기다. 그렇기에 일본에서는 노쇠를 측정하는 지표에 “일주일에 몇 번 남과 어울립니까?”라는 질문이 꼭 들어있다. 요즘 코로나로 집에 혼자 있는 이들이 많은데, 그러다 빨리 늙는다. (방역 수칙은 지키면서) 어떻게든 어울리고 자주 보시라. 그래야 안 늙는다. |